top of page

[성명서] KBS 뉴스의 편향과 왜곡을 강력히 규탄한다.

KBS 뉴스의 편향과 왜곡이 점입가경이다. 전국민으로부터 시청료를 꼬박꼬박 챙겨가면서 자칭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이라는 KBS의 제작진과 앵커의 자질 부족과 편견이 국민을 우롱하며 뉴스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KBS가 과연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인가?


KBS는 지난주 한일정상회담 당시 윤 대통령이 의장대 사열 도중 국기에 경례하는 장면을 중계하던 앵커가 윤 대통령이 “일장기에 경례했다”고 해설했다. 나중에 당시 카메라에 일장기만 보여 착오한 것이었다고 사과했지만, 이 또한 무지의 소치이다. 양국 국가원수의 의장대 사열 시 의장대 기수들이 양국 국기를 함께 드는 것은 기본이다.


우선, 지난주 한일정상회담 다음날 ‘KBS 9시 뉴스’에 이은 ‘뉴스를 만나다’의 ‘한일 정상회담 후폭풍… 박진 장관에게 묻다’라는 생방송 대담 내용을 살펴보면 참으로 가관이다.


KBS가 대담 프로 제목에 ‘후폭풍’이란 표현을 쓴 것부터 적절치 않다. ‘후폭풍’이란 어떤 일이 있고 난 뒤 그로 인해 나타나는 크거나 좋지 않은 영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KBS가 정상회담에 대해 ‘후폭풍’이란 부정적 시각의 제목을 달아놓고 외교부장관을 대담 상대로 초대한 것부터 오만한 태도이다.


KBS는 당일 대담 프로 직전 ‘KBS 9시 뉴스’에서 수 천 명에 불과한 반일시위대의 모습과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정의당 대표 등의 연설 장면을 방영하면서 여러 자막들을 띄웠다. “시민들의 존엄도 팔아먹고, 이 동북아시아의 평화도 팔아먹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심판” “한반도를 진영대결의 중심으로 몰아넣는 이 굴욕적인 야합” “자위대 다시 한반도 진주하지 않을까 두려워” “국민을 거역하고 역사를 저버린 이 무도한 정권을 그대로 두고 볼 수 없습니다” 등등이다.


이번 한일정상회담은 양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관심과 기대가 집중된 국제적인 중요 사안이다. KBS가 제대로 된 공영방송이라면 한일정상회담을 지지하는 더 많은 국민들의 집회 장면 및 유엔과 해외 각국의 희망과 기대의 목소리도 함께 다뤘어야 마땅하다. 더구나 해당 앵커가 외교부장관을 피의자를 취조하듯 몰아붙이고 발언을 중간에서 끊는 오만방자(傲慢放恣)에 더해 심지어 "만약 민주당 정부가 들어서면 장담할 수 없는 것 아닌가?”라는 등의 도를 넘는 막말까지 서슴지 않았다.


그 동안 KBS 직원들의 기고만장 횡포는 상상을 초월한다. 2년 전 직장인 익명 온라인커뮤니티에 KBS 직원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너네가 아무리 뭐라 해도 우리 회사 정년 보장되고요, 수신료는 전기요금에 포함돼서 꼬박꼬박 내야 되고요……평균 연봉 1억이고……제발 밖에서 우리 직원들 욕하지 마시고 능력 되시고 기회 되시면 우리 사우님 되세요”라는 비아냥의 글을 올려 국민의 공분을 산 일이 있다.


이 온라인커뮤니티는 회사 메일주소 인증을 거쳐야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KBS 직원임이 분명해지며 파장이 커졌다. 결국 KBS는 "국민이 주인인 공영방송의 구성원인 직원들 개개인이 스스로를 성찰하고 마음자세를 가다듬는 계기로 삼겠다……앞으로 임금체계 개선과 직무재설계 등을 통해 조직을 슬림화하고 경영을 효율화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임을 다시 한 번 약속드린다"고 했다. 이 약속이 궁여지책의 허언(虛言)임은 삼척동자도 안다.


이들의 기고만장 행패는 문재인 정권의 KBS 장악 기도를 저지하려던 KBS 이사(강규형 명지대교수)를 몰아낼 때 극에 달했다. 당시 KBS 제2노조(언론노조 KBS본부)는 자기들에게 눈엣가시였던 강규형 이사의 이사회 참석을 저지하며 집단린치를 가했고, 그의 근무지인 대학교에 확성기를 들고 떼로 몰려가 시위를 벌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온갖 소송들을 통해 그를 괴롭히며 개인의 삶을 피폐화시켰다.


결국 대통령 결재로 2017년 12월 28일자로 해임된 강규형 이사는 문재인 대통령을 상대로 해임처분취소 소송을 제기해서 2년 반 만에 그에 대한 해임처분이 부당하다는 대법원 판결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이미 임기가 지난 그는 복직도 할 수 없고 경제적, 정신적 피해를 보상받을 방도도 없다.


KBS를 위시한 MBC, EBS 등 공영방송의 중간광고가 2021년 7월부터 허용되어 KBS의 광고수입이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국민들은 KBS의 방송수신료 인상계획 반대에 이어 수신료 납부 거부운동까지 벌일 태세이다. 대통령실에서도 현행 수신료 징수방법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KBS수신료가 40년 이상 동결되어온 것은 사실이다. (사)한국물가정보 자료에 따르면 1980년에서 2020년까지 40년 동안에 각종 요금은 평균 10배 이상 인상되었다. 그렇다면 그 동안 모든 공공요금 인상에도 침묵해온 국민들이 왜 유독 KBS 수신료 인상에 대해서만 반대하고 있을까? KBS가 회사 총수입의 반을 차지하는 수신료가 40년 동안 동결돼도 회사직원 절반 이상이 억대 연봉자인 ‘신이 내린 직장’이기 때문이다.


KBS가 문재인 정부 당시 역대 최악의 편파방송으로 역대 최악의 적자를 내놓고도 편파방송 시정이나 자구노력도 없이 수신료 인상만 계속 밀어붙이려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 국민들은 KBS에 대해 “정권의 나팔수 역할을 한 공으로 중간광고까지 허가 받고 나서 다시 수신료도 올려 억대연봉 잔치를 보장받겠다는 후안무치”라며 분노하고 있다.


2014년 박근혜 정부 당시 야당과 언론연대, 민언연 등은 KBS를 ‘종박(從朴) 방송’이라고 했다. 그러다 정권이 바뀌자 KBS는 문재인 정부 5년 내내 충직한 정권의 나팔수가 되었다. 그런데 윤석열 정부로 정권이 바뀐 지 1년이 되도록 KBS는 고장난 정권의 나팔수가 되어 ‘반윤(反尹) 방송’에 열중하고 있다. 그 이유가 민노총 산하 언론노조의 횡포 때문임을 국민들은 안다.


문재인 정부 시절 KBS는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 KBS 한국방송’이 아니라 ‘‘충성을 다하는 정권의 방송, KBS 망국방송”이라는 비아냥 소리를 들었다. 이제 KBS는 다시 ‘망동을 다하는 노조의 방송, KBS 망국방송’이란 얘길 들을 만하다. 이 모든 문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개혁과 자정의 노력 없이 KBS가 공영방송으로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자유언론국민연합은 KBS의 각성과 자중을 강력히 촉구한다.


2023년 3월 25일

자유언론국민연합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공언련 성명] 네이버 뉴스제휴 심사에 ‘수상실적’ 반영은 ‘편향성의 제도화’이다.

네이버의 포털 입점 심사가 2년 만에 재개됐다. 네이버는 뉴스제휴위원회(제휴위) 정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신규제휴 평가 규정을 만들고 있다. 최성준 정책위원장은 ‘공정하고 투명한 정책을 수립해 네이버 뉴스가 미디어 생태계를 건전하게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과연 최 위원장 말처럼 네이버의 뉴스제휴 평가가 공정하게 이루어질지 심히 우려된

 
 
 
[자유언론국민연합 성명] 정치특검이 만든 비극, 민주당은 즉각 해체하라!

민주당이 주도한 이른바 ‘정치특검’이 또 한 사람의 생명을 앗아갔다. 한 평범한 공무원이었다. 그의 마지막 기록은 한 개인의 절규를 넘어, 이 나라의 법치와 양심이 얼마나 짓밟히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시대의 고발문이다. “너무 힘들고 지칩니다. 이 세상을 등지고 싶습니다. 사실을 말해도 거짓이라 하고, 기억나지 않는 일을 기억하라 강요받았습니다. 모른다고

 
 
 
[자유언론국민연합 성명]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 석방을 강력히 환영하며, 불법 탄압의 책임자를 끝까지 단죄할 것이다!

오늘 법원이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체포적부심을 인용하여 석방을 명령한 것은, 권력의 폭주에 제동을 건 정의로운 판결이다. 늦었지만 당연한 결정을 환영한다. 그러나 우리는 분명히 경고한다. 이 사건은 단순한 개인의 석방으로 끝날 문제가...

 
 
 

댓글


Get Latest News...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5길 42, 종로빌딩 5층

자유언론국민연합 로고 이미지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우리의 삶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Email : 4freepressunion@gmail.com

Phone : 02-733-5678

Fax : 02-733-7171

© 2022~2025 by 자유언론국민연합 - Free Press Uni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