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성명] 언론노조 허위 사실 공표 법적책임 묻겠다!

文정권 언론장악 문건 주역들이 뻔뻔한 내로남불
조성부·성기홍 6년6개월 간 자행된 불공정보도엔 침묵

민주노총 언론노조가 얼토당토 않은 허위 사실을 주장하며 황대일 연합뉴스 사장 내정자 흠집내기에 나섰다.


명백한 허위사실 공표에 대해서는 반드시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다.

이에 동조해 허위사실을 제공한 민노총 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이하 1노조) 담당자들도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


황 사장 내정자는 문재인 정권 출범 후 언론노조 인사들이 주도한 이른바 '혁신위원회'의 인사보복 칼춤에 의해 부당하게 불공정 보도 프레임이 씌워져 정직 6개월이라는 처분을 받았지만 법원 소송을 통해 징계 처분이 부당했음이 밝혀졌고 징계 또한 취소됐다.


이런 명백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언론노조와 1노조는 황 사장 내정자가 "박근혜 정권 시절 핵심 보직을 역임하며 연합뉴스의 공정보도 시스템을 파괴하고 불공정보도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정직 6개월의 중징계를 받기도 했다"고 허위 사실을 공표했다.


과거 징계가 잘못됐다는 사실이 재판 과정에서 밝혀졌고 회사에서 법원 결정을 받아들여 징계를 취소한 상황에서 언론노조와 1노조의 주장은 명명백백한 허위 사실이고 명예훼손인 만큼 법적 책임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

언론노조는 또 공정언론국민연대(공언련)에서 일했던 사람들이 공영언론의 사장으로 임명됐다고 '언론장악 카르텔'이라고 비판했으나 이는 좌파 언론단체의 전형적인 내로남불 행태다.

문재인 정권 출범에 맞춰 민주당이 작성한 언론장악 문건의 시나리오에 따라 KBS, MBC, 연합뉴스, YTN 등 주요 공영언론사에 낙하산을 내리꽂아 좌편향 불공정 보도를 양산했던 장본인들의 입에서 나올 말은 더더욱 아니다.


뉴스통신진흥회의 여권 인사들이 황 사장 내정자에게 몰표를 주었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

진흥회는 노영 회사로 전락해 빈사 상태에 빠진 연합뉴스를 살릴 적임자를 고르기 위해 고심한 끝에 황 사장 내정자가 안팎의 압력에 휘둘리지 않고 콘텐츠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회사 경영도 정상화할 적임자로 판단한 것이다.

황 사장 내정자 등 과거 연합뉴스 수뇌부가 국정교과서 논란이나 탄핵 촉구 촛불집회 보도와 관련해 억지스러운 기계적 중립을 강요한 바 있다고 지적했으나 이 논리 또한 언론의 정도를 벗어나는 것이다.

어떠한 사실을 놓고 논란이 심할 때는 양쪽 의견을 중립적으로 전달해 국민이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언론의 기본인데 이를 두고 억지스럽다거나 기계적이라고 지적하는 자체가 스스로의 편향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언론노조와 1노조는 지난 6년 6개월 동안 조성부-성기홍 체제에서 자행된 많은 불공정 사례에 대해서는 사실상 침묵과 방조로 일관해왔기에 공정보도를 논할 자격이 전혀 없다.

2020년 9월 문재인 정권이 북한군 총격으로 숨진 해양수산부 소속 공무원 이대근 씨에 대한 월북몰이에 나섰을 때 연합뉴스는 [정보당국 "월북 시도 확실…북측 통신·대화 감청 확보"] 단독 기사를 터트리며 정권의 나팔수 노릇을 했다.

피격 사건 사흘 만인 2020년 9월 25일 연합뉴스는 정보 입수 경로가 의심스러운 이 단독 기사를 통해 숨진 이 씨가 스스로 입북한 것처럼 여론을 호도했다.

김기현 전 울산시장 관련 보도에서는 취재기자가 기사 제목에 넣었던 '청와대 하명 논란'이라는 핵심 단어가 데스킹 과정에서 잘려나가고 청와대에 유리한 타사 보도 내용은 인용 보도하라는 경영진의 압력이 내려오기도 했다.

EBS 유시춘 이사장의 아들인 신 감독이 대마초 복용으로 재판을 받을 땐 신 감독이 노무현재단의 유시민 이사장의 조카라는 사실이 데스킹 과정에서 증발해버렸다.

문재인 전 대통령 탄핵 국민청원이 20만명을 돌파했을 때는 주요 매체들이 모두 비중있게 보도했음에도 연합뉴스는늑장 처리했다. 일선 기자가 오후 6시 53분에 올린 해당 기사를 무려 4시간 넘게 보류했다가 심야인 11시 11분에 간신히 송고했다.

문 전 대통령을 비판한 미국 유력지 뉴욕타임스의 보도는 아예 뭉개버렸다. 문 전 대통령이 코로나 사태를 두고 "머지않아 종식될 것"이라고 발언하자 뉴욕타임스가 "대가가 큰 오류(costly error)"라고 지적했고 대다수 언론이 이를 묵직하게 기사화했지만 연합뉴스는 외면했다.

불공정보도 사례는 이외에도 일일이 거론하기 힘들 정도로 많다.

언론노조는 문재인 정권에서 홍위병 역할을 했던 스스로의 부끄러운 과거는 덮어놓고 조성부-성기홍 체제에서 망가질대로 망가진 연합뉴스를 바로세워야 할 막중한 책임을 진 황 사장 내정자 발목잡기에만 혈안이 돼있다.

1노조 역시 전체 노조원과 사원들의 권익을 대변하기보다는 황 내정자에게 사적 악감정을 갖고 있는 일부 불순세력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개탄스럽다.

언론노조와 1노조는 아직 취임도 하기 전인 황 내정자에 대한 부당한 흠집내기를 중단하고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연합뉴스를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해야 할 황 내정자에게 힘을 실어주고 지켜봐주는 것이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다.

2024년 9월 28일

연합뉴스 공정보도 노동조합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공언련 성명] 네이버 뉴스제휴 심사에 ‘수상실적’ 반영은 ‘편향성의 제도화’이다.

네이버의 포털 입점 심사가 2년 만에 재개됐다. 네이버는 뉴스제휴위원회(제휴위) 정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신규제휴 평가 규정을 만들고 있다. 최성준 정책위원장은 ‘공정하고 투명한 정책을 수립해 네이버 뉴스가 미디어 생태계를 건전하게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과연 최 위원장 말처럼 네이버의 뉴스제휴 평가가 공정하게 이루어질지 심히 우려된

 
 
 
[자유언론국민연합 성명] 정치특검이 만든 비극, 민주당은 즉각 해체하라!

민주당이 주도한 이른바 ‘정치특검’이 또 한 사람의 생명을 앗아갔다. 한 평범한 공무원이었다. 그의 마지막 기록은 한 개인의 절규를 넘어, 이 나라의 법치와 양심이 얼마나 짓밟히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시대의 고발문이다. “너무 힘들고 지칩니다. 이 세상을 등지고 싶습니다. 사실을 말해도 거짓이라 하고, 기억나지 않는 일을 기억하라 강요받았습니다. 모른다고

 
 
 
[자유언론국민연합 성명]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 석방을 강력히 환영하며, 불법 탄압의 책임자를 끝까지 단죄할 것이다!

오늘 법원이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체포적부심을 인용하여 석방을 명령한 것은, 권력의 폭주에 제동을 건 정의로운 판결이다. 늦었지만 당연한 결정을 환영한다. 그러나 우리는 분명히 경고한다. 이 사건은 단순한 개인의 석방으로 끝날 문제가...

 
 
 

댓글


Get Latest News...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5길 42, 종로빌딩 5층

자유언론국민연합 로고 이미지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우리의 삶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Email : 4freepressunion@gmail.com

Phone : 02-733-5678

Fax : 02-733-7171

© 2022~2025 by 자유언론국민연합 - Free Press Uni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