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정상화범국민투쟁본부 성명] KBS! 편파방송과 헤어질 결심은? 새 KBS를 준비하라!
- 자언련

- 2023년 8월 2일
- 2분 분량
[KBS정상화투쟁 52일차]
민주노총 산하 KBS 본부노조 출신 앵커가 시사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가 한 발언을 직접 반박하는 질문을 함으로써 KBS가 여전히 편파방송을 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동관 후보가 1일 사무실 첫 출근을 하면서 “우리는 과거 선전, 선동을 굉장히 능수능란하게 하던 공산당 신문이나 방송을 언론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건 사실이 아닌 주장을 전달하기 때문에 기관지라고 부른다”라는 말을 했다.
이는 과거 구(舊)소련의 프라우다, 중국의 인민일보, 북한의 노동신문 등 당(黨)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대변하고 대중을 선동하는 기관지를 두고 한 말이었다. 그런데 시사프로그램 《사사건건》 진행자가 뜬금없이 패널인 국민의힘 대변인에게 “저도 공산당 언론에 소속된 언론인이 되는 겁니까”라는 상식 이하의 반박성 질문을 한 것이다.
공영방송의 뉴스프로그램 앵커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원활한 인터뷰가 될 수 있도록 보조적인 역할에 충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앵커는 그동안 좌 편향적 입장에서 한쪽 편을 드는 진행으로 많은 비판을 받아오던 사람이었다.
지난해 12월 25일 방송된 KBS 뉴스9의 《뉴스를 만나다》 코너에서 노조법 개정안 시행이 불러올 파장과 피해 등에 대한 경제계의 우려는 보도하지 않고, 민주노총 관계자의 일방적인 의견만을 청취한 불공정 보도를 한 바 있다. 지난 3월 18일 KBS 9시 뉴스 《한일 정상회담 후폭풍…박진 장관에게 묻다》 생방송 대담 시에도 앵커가 지나치게 노골적으로 한·일정상회담 자체를 비판하는 질문을 던졌다는 지적을 받은 적도 있었다. 2017년엔 고대영 전 사장이 국감장으로 들어가는 길을 막아서서 민주노총 산하 KBS 본부노조가 줄기차게 주장하던 국정원 200만 원 수수설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고 추궁하기도 했던 사람이다. 고대영 전 사장은 이후 관련 사안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받았고 당시 부당하게 괴롭힘을 당했다는 사실을 인정받았다.
진작 청산되어도 마땅한 이런 사람을 KBS가 아직도 진행자로 내세우기 때문에 여전히 혁신을 거부하고 편파·왜곡·조작에 골몰하는 노영방송이라는 오명을 듣고 있다. 이제 KBS는 편파방송의 습관과 헤어질 결심을 할 때다. 왜곡, 조작의 관행과 추억을 버리고 새 KBS를 준비하는 것이 KBS가 사는 길이다.
조만간 이동관 후보자가 취임한다. KBS 스스로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나려는 뼈를 깎는 노력으로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 그래야 이동관 후보자가 제시한 비전인 KBS가 세계적 방송으로 도약할 수 있는 천금 같은 기회를 잡을 수 있다.
“김의철과 민주노총이 죽어야 KBS와 대한민국이 산다. KBS를 국민의 품으로!”
2023년 8월 2일
KBS정상화범국민투쟁본부
댓글